ubuntu에k9s설치

k9s설치

snap install k9s –devmode

경로 링크 만들어주기
sudo ln -s /snap/k9s/current/bin/k9s /snap/bin/

심링크를 생성하는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ln -s <연결하고자 하는 원본 파일/폴더의 경로> <새로 생성하는="" 링크의="" 경로="">

ln은 링크 명령어입니다. -s 옵션은 해당 링크를 소프트 링크로 만들어줍니다. -s 옵션은 -symbolic으로도 대체할 수 있습니다.

기본적으로 ln 명령어는 하드 링크를 생성합니다. 다음 인자(argument)는 연결하려고 하는 파일이나 폴더의 경로입니다. (즉, ‘바로가기’를 하려고 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말합니다.)

마지막 인자는 링크 경로 그 자체로, ‘바로가기’를 말합니다.

심링크를 삭제하는 방법 심링크를 제거하기 전에, 파일들을 괜히 손대기 전에 파일이나 폴더가 심링크인지 확인하고 싶을 것입니다.

아래 명령어로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.

ls -l <심링크라고 생각되는="" 경로="">

터미널에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의 속성들이 표시될 것입니다. 그 결과로 나타나는 첫 문자가 소문자 L(“l”)이라면 파일/폴더가 심링크라는 의미입니다.

심링크가 가리키는 파일/폴더를 가리키는 화살표(->)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.

심링크를 삭제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
언링크(unlink)를 사용해 심링크를 삭제하는 방법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unlink <심링크 경로="">

위 과정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심링크가 삭제됩니다.

폴더 형태의 심링크라 하더라도, ‘/’를 넣지 마세요. 리눅스는 이것이 디렉터리라고 간주하며, unlink는 디렉터리를 삭제하지 못합니다.

rm을 사용해 심링크를 삭제하는 방법 위에서 본 것과 같이 심링크는 원본 파일/폴더를 가리키는 또 다른 파일/폴더입니다. 이를 관계를 지우고 싶다면, 연결된 파일을 삭제하면 됩니다.

따라서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rm <심링크 경로="">

예를 들어,

rm trans.txt rm james

리눅스는 ‘james/’를 디렉터리로 간주해 r과 f 같은 옵션이 필요하므로 rm james/를 실행한다면 에러가 날 것입니다. 이런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심링크가 폴더의 형태라도, (/ 없이) 폴더의 이름만 써주면 됩니다.

unlink보다 rm이 좋은 이유는 마치 파일처럼 한 번에 여러 심링크를 삭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깨진 링크(Broken Link)를 찾고 삭제하는 방법 깨진 링크는 심링크가 가리키던 파일이나 폴더의 경로가 변경되거나 삭제될 때 생깁니다.

예를 들어보자면, ‘transactions.txt’가 /home/james에서 /home/james/personal로 이동할 경우 ‘trans.txt’ 링크는 깨집니다. 파일에 접근하려고 하면 ‘해당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’라는 에러를 낼 것입니다. 링크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없기 때문입니다.

깨진 링크를 발견하면, 파일을 쉽게 삭제할 수 있는데, 깨진 링크를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find /home/james -xtype l

이 명령어는 파일에서부터 디렉터리, 그 서브 디렉터리까지 돌면서 james 디렉터리의 모든 깨진 링크를 출력합니다.

-delete 옵션을 전달하면 아래처럼 해당 파일들을 삭제합니다.

find /home/james -xtype l -delete

마무리

k9s는 편리하고
심볼릭 링크는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의 흥미로운 기능입니다.

바로 접근하기에 불편한 파일 또는 폴더를 쉽게 열 수 있게 해주는 심링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조금만 연습하면 직관적인 수준에서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뿐더러 파일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출처

-https://github.com/derailed/k9s?tab=readme-ov-file